동짓날은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이 시기에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왜 하필이면 겨울에 팥죽을 먹을까요?
그리고 팥죽말고 다른 음식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지와 팥죽”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겠습니다.
동지의 뜻과 유래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 무렵에 드는데요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달하는 때라고 합니다.
옛날 중국 주나라에서는 이날을 설로 삼았다고 합니다.
민간에서도 동지를 작은설이라 하여 크게 축하했다고 합니다.
한 옛말에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그만큼 1년 중 밤이 가장 긴 절기이기 때문에 귀신과 액운을 쫓는 의미로 팥죽을 먹었다고 합니다.
동짓날 팥죽 먹는 이유는?
동지하면 떠오르는 음식이 있죠? 바로 팥죽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음력 11월 초순에 드는 애동지 때는 아이들에게 좋지 않다고 해서 팥죽을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반면 중순 이후에 드는 중동지·노동지 때는 아기들에게도 좋다고 하여 팥죽을 먹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에서도 공공씨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신이 되었다고 하는데, 그 아들이 생전에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역신을 쫓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각 나라마다 다양한 유래가 있지만 공통점은 모두 나쁜 기운을 물리치기 위해서라는 점입니다.
팥죽 만드는 방법은?
먼저 찹쌀가루를 뜨거운 물로 익반죽해서 새알심을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냄비에 팥물을 넣고 끓이다가 끓어오르면 불린 쌀을 넣고 끓여주고 마지막으로 새알심을 넣어주면 완성됩니다.
기호에 따라 설탕 또는 소금을 첨가해도 좋아요.
팥죽과 새알심을 넣어먹는 이유는?
동지날엔 가족들이 모여 팥죽을 나눠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때 나오는 새알심은 찹쌀가루를 뜨거운 물로 반죽해서 동그랗게 빚은 떡입니다.
이 새알심을 나이만큼 먹어야 한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한 살 더 먹는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또한 동짓날 뿐만 아니라 설날 떡국처럼 새해 첫날 먹기도 합니다.
이렇게 여러가지 의미가 담긴 새알심이지만 맛 또한 일품입니다.
팥죽의 효능
인삼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으로 유명한 사포닌이 알고 보니 팥에도 풍부하게 들어있다고 합니다.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몸속 노폐물 배출을 도와주는 착한 성분입니다.
특히나 팥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팥은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유명합니다.
팥물은 이뇨작용을 활바하게 하여 붓기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기에 포만감까지 더해주어서 식사량을 조절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면 오히려 좋지 않으니 하루 1L 이내로 마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팥죽 말고 다른 음식은?
옛날 조상들은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B1을 보충하기 위해 팥죽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재료들을 이용해서 색다른 맛의 팥죽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단호박죽은 달콤한 맛 덕분에 아이들도 좋아하는 메뉴이고 흑임자죽은 고소한 맛이 일품이죠.
이외에도 단팥죽, 고구마죽 등 많은 종류의 팥죽이 있으니 취향에 맞는 팥죽으로 골라 드시면 될 것 같아요.
오늘은 동지와 팥죽에 대해서 포스팅해보았습니다.
모두들 건강하고 행복한 연말 되세요 ^-^
프리미어 리그 [맨시티(맨체스터 시티)] 구단 소개
영국 프리미어 리그의 구단인 맨시티(맨체스터 시티)에 대해 소개 포스팅입니다. 최근 맨시티는 23년 프리미어 리그 17라운드 홈경기에서 크리스탈 팰리스를 상대로 2:2 무승부를 거두었습니다.
boy1199.tistory.com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연말정산 고향사랑기부제 소개/세액 공제 혜택 정보/기부하는 법/추천 답례품 목록 (56) | 2023.12.25 |
---|---|
진주시 크리스마스에 갈만한 맛집/데이트 장소 추천/가족 모임 추천/진주 맛집/연말 모임 장소 추천 (27) | 2023.12.24 |
프리미어 리그 [맨시티(맨체스터 시티)] 구단 소개 (39) | 2023.12.17 |
탄핵은 무슨뜻?/탄핵의 뜻/탄핵의 역사/대한민국 탄핵 사건/ (48) | 2023.12.16 |
네덜란드 한국대사 초치! 초치란 무엇?/초치 뜻/초치 설명 (32) | 2023.12.15 |